1960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4위 중국 GDP 6백 1십억달러.
5위 일본 GDP 4백 4십억달러.
19위 필리핀 GDP 6십 9억달러.
29위 한국 GDP 3십 9억달러.
42위 홍콩 GDP 1십 3억달러.
57위 싱가포르 GDP 6억 4천만달러.
1965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4위 일본 GDP 9백억달러.
5위 중국 GDP 6백 9십억달러.
27위 필리핀 GDP 6십억달러.
39위 한국 GDP 3십억달러.
44위 홍콩 GDP 2십 4억달러.
60위 싱가포르 GDP 9억 6천만달러.
1970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2천억달러.
6위 중국 GDP 9백 1십억달러.
32위 한국 GDP 8십 9억달러.
38위 필리핀 GDP 6십 6억달러.
50위 홍콩 GDP 3십 8억달러.
59위 싱가포르 GDP 1십 8억달러.
1975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5천억달러.
8위 중국 GDP 1천 6백억달러.
31위 한국 GDP 2백 1십억달러.
37위 필리핀 GDP 1백 5십억달러.
48위 홍콩 GDP 1백억달러.
56위 싱가포르 GDP 5십 6억달러.
1980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1조달러.
11위 중국 GDP 1천 9백억달러.
28위 한국 GDP 6백 3십억달러.
36위 필리핀 GDP 3백 2십억달러.
40위 홍콩 GDP 2백 8십억달러.
58위 싱가포르 GDP 1백 2십억달러.
1987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2조 4천억달러.
11위 중국 GDP 2천 7백억달러.
18위 한국 GDP 1천 4백억달러.
34위 홍콩 GDP 5백억달러.
45위 필리핀 GDP 3백 3십억달러.
59위 싱가포르 GDP 2백억달러.
1992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3조 7천 6백억달러.
10위 중국 GDP 4천 2백억달러.
14위 한국 GDP 3천 3백억달러.
30위 홍콩 GDP 1천 4십억달러.
39위 필리핀 GDP 5백 2십억달러.
40위 싱가포르 GDP 5백억달러.
1998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3조 8천억달러.
7위 중국 GDP 1조달러.
15위 한국 GDP 3천 4백억달러.
25위 홍콩 GDP 1천 6백 6십억달러.
40위 싱가포르 GDP 8백 2십억달러.
43위 필리핀 GDP 6백 5십억달러.
2002년 세계 GDP 순위 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3조 9천억달러.
6위 중국 GDP 1조 4천 5백억달러.
11위 한국 GDP 5천 4백억달러.
28위 홍콩 GDP 1천 6백억달러.
40위 싱가포르 8백 8십억달러.
43위 필리핀 GDP 7백 6십억달러.
2006년 세계 GDP 순위 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4조 3천억달러.
4위 중국 GDP 2조 9천억달러.
13위 한국 GDP 8천 9백억달러.
34위 홍콩 GDP 1천 9백억달러.
40위 싱가포르 1천 3백억달러.
43위 필리핀 GDP 1천 2백억달러.
자료출처
http://www.nationmaster.com/time.php?stat=eco_gdp-economy-gdp&country=ks-korea-south
이 주소의 사이트로 가서 1960년도를 클릭하면 그해의 세계 GDP순위가 쭉 나옴..
4위 중국 GDP 6백 1십억달러.
5위 일본 GDP 4백 4십억달러.
19위 필리핀 GDP 6십 9억달러.
29위 한국 GDP 3십 9억달러.
42위 홍콩 GDP 1십 3억달러.
57위 싱가포르 GDP 6억 4천만달러.
1965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4위 일본 GDP 9백억달러.
5위 중국 GDP 6백 9십억달러.
27위 필리핀 GDP 6십억달러.
39위 한국 GDP 3십억달러.
44위 홍콩 GDP 2십 4억달러.
60위 싱가포르 GDP 9억 6천만달러.
1970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2천억달러.
6위 중국 GDP 9백 1십억달러.
32위 한국 GDP 8십 9억달러.
38위 필리핀 GDP 6십 6억달러.
50위 홍콩 GDP 3십 8억달러.
59위 싱가포르 GDP 1십 8억달러.
1975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5천억달러.
8위 중국 GDP 1천 6백억달러.
31위 한국 GDP 2백 1십억달러.
37위 필리핀 GDP 1백 5십억달러.
48위 홍콩 GDP 1백억달러.
56위 싱가포르 GDP 5십 6억달러.
1980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1조달러.
11위 중국 GDP 1천 9백억달러.
28위 한국 GDP 6백 3십억달러.
36위 필리핀 GDP 3백 2십억달러.
40위 홍콩 GDP 2백 8십억달러.
58위 싱가포르 GDP 1백 2십억달러.
1987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2조 4천억달러.
11위 중국 GDP 2천 7백억달러.
18위 한국 GDP 1천 4백억달러.
34위 홍콩 GDP 5백억달러.
45위 필리핀 GDP 3백 3십억달러.
59위 싱가포르 GDP 2백억달러.
1992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3조 7천 6백억달러.
10위 중국 GDP 4천 2백억달러.
14위 한국 GDP 3천 3백억달러.
30위 홍콩 GDP 1천 4십억달러.
39위 필리핀 GDP 5백 2십억달러.
40위 싱가포르 GDP 5백억달러.
1998년 세계 GDP 순위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3조 8천억달러.
7위 중국 GDP 1조달러.
15위 한국 GDP 3천 4백억달러.
25위 홍콩 GDP 1천 6백 6십억달러.
40위 싱가포르 GDP 8백 2십억달러.
43위 필리핀 GDP 6백 5십억달러.
2002년 세계 GDP 순위 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3조 9천억달러.
6위 중국 GDP 1조 4천 5백억달러.
11위 한국 GDP 5천 4백억달러.
28위 홍콩 GDP 1천 6백억달러.
40위 싱가포르 8백 8십억달러.
43위 필리핀 GDP 7백 6십억달러.
2006년 세계 GDP 순위 중에서 동북아시아 주요국..
2위 일본 GDP 4조 3천억달러.
4위 중국 GDP 2조 9천억달러.
13위 한국 GDP 8천 9백억달러.
34위 홍콩 GDP 1천 9백억달러.
40위 싱가포르 1천 3백억달러.
43위 필리핀 GDP 1천 2백억달러.
자료출처
http://www.nationmaster.com/time.php?stat=eco_gdp-economy-gdp&country=ks-korea-south
이 주소의 사이트로 가서 1960년도를 클릭하면 그해의 세계 GDP순위가 쭉 나옴..
위 표를 보면 아시겠지만 박정희 시기부터 전두환시기까지 한국의 세계 gdp순위는 30위권이었습니다.
이게 극적으로 변화된 게 87년 민주화운동이후이구여
그때 처음 18위가 됩니다.
그리고 김대중집권말기 11위 노무현 집권말기 13위를 기록합니다.
이거 보면 누가 진짜 경제대통령인지 답이 나올것입니다
덧글
80년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가 시작된 시기였구요.
노동자 투쟁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국민이 점점 눈을 는 시기였습니다.
85년 야당이 돌풍을 일으키던 시기였거든요. 그 시기부터 87년까지는 3년간의 텀이 있구요
그리고 집권자의 변경 이라는 권력의 교체되는 현상도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사회가 점점 더 권력분화의 상태로 간다는 전조였으니깐요
그리고 전두환 시절의 경우 미일간의 플라자합의라는 외부적 변수영향이 워낙 컸습니다.
그것도 가만하고 봐야 할 듯 싶네여
이것저것 가만하고 볼때 80년 이후 민주화물결 85년 신민당돌풍 등등 압흑의 시기에서 점점 민주화의 시기로 이전해가는 시기였다는 게 중요하구요 87년 기점으로 그게 폭발했져
그러니까 그 전에 그런 움직임이 없었다고 볼 수 없을 듯 싶네여
노태우 정도면 뭐 괜찮은 경제 대통령 맞음.
게다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정당하게 당선되었으니 크게 깔 거리도 없음.
까말 한나라당이 아직 벌어먹는 이유가 박정희-전두환-노태우이 경제는 잘 해왔기 때문 아님?
김영삼이라는 희대의 병*이 말아막고 김대중이 그 정도로 선방한 건 우익도 인정해야 함.
박정희가 국가 차원에서 투자한 중화학 공업이 80년대 들어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고
전-노 시절에 사기업들이 투자한 전자산업이 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의 고도성장 주역이 되었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이미 전-노 시절에 들어서면 경제성장에서 국가의 역할이 상당히 축소되고 대기업들이 주역을 차지했다고 보입니다만.
대통령이니 경제관료니 하는 자들이 뻘짓 하더라도 이미 그 영향력은 박통시절과는 달라졌다는..
MB가 지금와서 박정희 흉내내는 것이 더 가소롭다는..
그리고 80년대 중화학공업은 시작부터 2차 오일쇼크 발생으로 완전 맛팅이 가다가, 중화학 육성에 관해서 구조적 문제 지적이 엄청났습니다. 박정희가 살았다면 아마 이 시절을 못버텼을 것 같은데요. MB의 사대강도 여기에 명함을 못내밀 것입니다. ㅎ
중화학 공업은 80년대 말이 되어서야 소재 산업이 각광 받으면서 동아시아 전체가 다시 경쟁적으로 대규모 투자가 시작됩니다. 2개의 시점을 섞어서 보시는데, 이건 분리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다보니 이러한 동아시아의 중화학공업이 철강, 자동차, 석유화학, 반도체 등에서의 초과공급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것들이 이어져 결국 외환 위기가 발생되었고, 외환 위기의 주요 이유로 거론되고 있는 것을 아십니까?
SERI 보고서 중 관련하여 팩트가 궁금해 하실까봐, 볼만한 것이 있어 링크 겁니다. http://www.seri.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01&pubkey=db19990610
박정희 정권 29위->28위
전두환 정권 28위->18위
노태우 정권 18위->14위
김영삼 정권 14위->15위
김대중 정권 15위->11위
노무현 정권 11위->13위
단순히 순위로만 보면 전두환이 역시 잘나가네요. 이때 3저호황이니 뭐니해서 정말 잘 나가던 시기로 기억합니다. (선배들 말이 회사를 골라서 들어갔다는 전설의 시기, 3류대학 출신인데도 불구하구요.)
단순히 순위보다는 일본과 GDP 규모가 어느정도 차이나는지 비교해보니 재미있는 결과가 나오네요. 전두환때 17배 까지 차이가 벌어질 줄이야.
이게 북한의 김일성 김정일과 다르져
둘째 국민이 노동자투쟁이나 민주화운동등 먼가 자기 몫과 정의를 주장하던 시기였고 신민당 돌풍이 일어나는 시기였다는 겁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80년대 한국은 3저호황이 있었고 이것은 전두환집권층의 공과 무관하게 미일의 플라자합의의 결과였다는 겁니다.
이런 모든 사안을 고려해 판단해야 겠죠
아직 완전 넘사벽이군요...
이명박 정권 : 13위 -> 15위
경제불황을 남들보다 훨씬 잘 이겨냈다면서? 근데 왜 순위가 떨어진거야? 이거 설명할 수 있는 우익들 있어?
60년에 전세계 국가가 100개도 안되었는데 전세계 국가수는 빼고 그냥 순위만 덩그러니 펌질하면 어쩌라는 거지?
60년에 독립한 국가가 아프리카에만 16개인 것인 상식 아닌가?ㄲㄲ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B%82%98
이사람 거짓말하고 있구먼, 딱걸렸네.
그럼 왜 상관없는 가나 얘기를 했지? 저거 명백한 거짓말이잖아.
닥치고, 저 위에는 1965년부터 쓰여있으니까, 1965년 이후에 독립했는데 대한민국보다 더 잘살았던 나라 이름이나 대봐.
"60년대에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상당수가 한국소득 이상이었습니다. 가나만 해도 독립 당시에는 한국보다 몇배로 잘 살던 것으로 기억나는데 말입니다."
라고 하면 아, 60년대에 독립한 나라들은 잘사는 나라가 많았고, 그 대표적인 예가 가나인가보다 라고 생각되지. 하아...이녀석 이명박같은놈일세.
그래, BBK를 "내가"만들었다고 말한적은 없지. 안그래?
닥치고, 말했잖아. 네말대로 60년대에 독립했는데 대한민국보다 독립시에 GDP가 더 높았던 나라 이름이나 대보라고. 왜 못대는건데?
소문은 들었지만, 소문보다 더 XX같네.
가나가 1957년 독립했다는건 사실이야. 이건 님이 싫어하는 위키피디아를 찾아봐도 그렇고, 저 조작이라고 방방 뛰는 저사람도 인정했다고. 맥락 파악못하고 있을거면 좀 빠지는게 어때?
호오...1957년을 "60년경"이라고 교묘히 속이는 거짓말까지 했구먼. 이사람 안되겠네.
위키? 그건 도나개나 가서 편집하면 되는 그런 사이트 아니냐? 완전 미국판 아고라나 루리웹같은 사이트를 고작 출처로 퍼오다니, 참 한심하군?
인구빨로 하면 가나가 조금 앞서긴 하는데, 그래도 가나가 1.5배정도 된다. 몇배는 더 잘살거라며?
아, 맞다. 얘는 1960년에는 가나가 없다고 했던 애지...ㅋㅋㅋㅋ
환빠새끼들도 답없긴 한데 환까애들도 가만 보면 별로 멀쩡한 애들은 아님 ㅋ
잘하셨습니다요. 예,예,예.
군바리보다 못해서야 어디 되겠습니까요. 예,예,예....
집을 짓는데, 먼저 땅을 파거든여. 그거 집인가여? 다시 거기에 기초공사를 합니다여. 거기가 집인가여?
요즘으로 치면 거푸집으로 공구리 올립니다. 그게 집인가여?....
영삼이 보고 인테리어 좀 하라고 했더니 불질러 먹었지여? 그래서, 대중이가 다시 인테리어 작업했습니다여. 그거 집 맞습지여. 거기서 무혀니가 도배하고, 보일러 놓고 했나여? ㅋㅋㅋㅋ.
대통령 때문에 되었다는 사고죠. ㅎㅎㅎ
박정희를 그렇게 알고 있었으니,
그러한 인식 프레임으로 다른 인물로 찾으려 시도 ㅋ
박정희 대한민국의 경제영웅이라는 말은 80%이상이 억지,과장입니다.
-------
경제학자 강기춘은 김영삼 2년차까지 정권별 경제점수를 매겼는데
전두환.노태우가 12점, 김영삼 10점, 박정희가 6점이었습니다.
(출처) http://blog.daum.net/sslee222/7359097
-언론은 경제를 망친 인간도 영웅으로 만들기도 하지요.
울산에 조선소 지을 떄 정주영이 자신없다고 한 것을 박정희가 계속 윽박 질러 조선소를 세웠다.
그리고 1호선 건조했을 때 배길이가 도면보다 10m 길어서 선주사가 인수 거절했다.
이것을 박정희가 현대상선 만들게 해서 그곳으로 돌리고 다시 배를 건조하게 했다..
박정희 없었으면 울산의 현대중공업등 한국의 조선산업 자체가 없었을 것이다.